일반콘_철근이음형식별 특징비교 // 토목시공기술사 1일1포스트잇 //

 

철근을 잇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거의 모든 부위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은 '겹이음'입니다. 이음길이 이상 겹쳐서 이어주면 간단하게 해결되죠. 하지만 35mm이상의 굵은 철은은 겹이음시 철근과 철근 사이가 좁아져서 콘크리트 타설이 불가능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용접이음'과 '나사이음'입니다. 각 이음 방법별로 적용부위, 오차범위, 작업시 주의사항에 대하여 상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철근이음 형식별 특징 비교


구분 

겹이음 

용접이음 

나사이음 

적용성 

 모든부위 

 기둥, 보 

 기둥, 보 

품질관리 

 난이(이음길이) 

 예열,숙련도문제 

 용이(KS마크) 

시공오차 

 5mm 

 3mm 

 - 

작업자

 철근공 

 용접공 

 기능공 

공구 

 결속도구 

 용접기 

 토크렌치 

주의사항 

 D35mm초과 겹이음금지

 인장철근 40d이상 확보 

 고열화상 주의

 급랭시 잔류응력발생 

 나사회전수 10~15회 확 

 

 


#관련 건설기준통합코드

KCS 14 20 11(철근공사)


#관련시방기준(링크)


#관련글(링크)

[1일1포스트잇] - 일반콘_철근이음 분류

[1일1포스트잇] - 일반콘_철근이음 시공시 주의사항

#참조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국토교통부(2013)

신경수, 「21세기 토목시공기술사_본서예문사

 

 



기술사공부는 주말에 벼락치기로 하는 것보다, 항상 주변에 읽을 거리/공부할 거리를 가까이두고 학습의 생활화가 중요합니다. 출퇴근길에, 점심먹고 오침 전에 짬짬히 공부하실 수 있도록 1일1포스트잇을 준비했습니다. 그대로 답안에 쓸 수 있도록 개괄식으로 작성했으니 하루에 포스트잇 한장만큼은 머리에 확실히 넣는다는 각오로 학습해주세요! (제가 공부할 때 작성한 것이어서 글씨체가 고르지 못한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본 포스팅은 본인의 경험 및 자료를 바탕으로 현업 중 짬짬히 작성한 글입니다. 부족하거나 수정할 부분은 댓글을 통해 지적/조언 부탁드립니다. 퍼가실때는 출처를 남겨주세요.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공감 클릭해주세요.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