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시공기술사 답안] Q.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원인 및 내구성 증진을 위한 설계 및 시공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콘크리트는 '정성이 들어가야만 제 기능을 한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말은 콘크리트의 재료적 특성(강도, 내구성, 수밀성, 강재보호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성'이 필요하다는 말인데요. 과연 우리가 콘크리트에 들일 수 있는 정성은 무엇일까요? 이는 크게 설계측면의 정성(방법)시공측면의 정성(방법)이 있습니다. 특히 해양환경에서의 염분에 의한 콘크리트 피해를 어떻게 저감시킬 수 있을 지 사례를 들어 알아보겠습니다.

문제 :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원인 및 내구성 증진을 위한 설계 및 시공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문제분석

#유형 : 문제점(문제점, 원인, 대책)

#요지(물어본 것) : 콘크리트구조물 내구성 저하요인 / 내구성 증진을 위한 설계,시공방안

#조건 : 콘크리트 구조물 → "공용중"구조물 콘크리트

 

#관련 건설기준통합코드

KCS 14 20 40(한중콘크리트)

KCS 14 20 44(해양콘크리트)


#관련시방기준(링크)


#관련글(링크)


 

 


 

 

 

문제풀이(예시)

1페이지 : 개요 / 내구성저하단계 / 문제점

Ⅰ.개요

콘크리트 구조물 내구성 저하원인은 위치별로 상부공(Slab충돌) / 하부(피복부족) 등. 내구성증진 설계방안은 피복두께증가 / 시공방안은 다짐철저 및 습윤양생관리임. (대한토목학회지) 해안가 교각 염해방지위한 "내염도장" 실시 / 내구성 향상사례 소개.

 

Ⅱ.내구성저하 단계

잠복기 → 진전기 → 가속기 → 열화기

 

Ⅲ. 내구성 저하시 문제점

공학적(물리/화학), 관리적(사회기회비용)

 

 

 

 

 

2페이지(요지) : 내구성저하원인 / 설계방안 / 시공방안

Ⅳ. 내구성저하 원인

상부공 : Slab(동결융해, 제설재 피해), 방호벽(충돌, 해안가 염해)

하부공 : 교대(Cold Joint), 기초(피복두께부족)

부속장치 : 교좌(무수축몰탈 수축)

 

Ⅴ. 내구성증진위한 설계방안

내구지수 증가(내구지수 > 환경지수)

피복두께 증가(해안구조물 : 8cm → 10cm)

표면보호공(도장 실시)

 

 

Ⅵ. 내구성증진위한 시공방안

재료 : 고내구 concrete 사용, 혼화재 사용(Flyash, Silica Fume)

배합 : 물결합제비 32.5%, Flyash 30%

시공 : 다짐(10~15초간, 0.5간격), 양생(동절기 급열양생, 하절기 습윤양생)


 

 

 

 

3페이지 : 현장사례 / 예방적유지관리(제언)

Ⅶ. 현장사례

해양구조물 비말대 염해부위 "내염도장"실시 → 교훈 : 내구성증진, 유지보수비 절감

 

 

Ⅷ. 예방적유지관리 제언

실태 : 중.소형 교량 유지관리 "사각지대"

제언 : 중장기적 예방적 유지관리 계획 수립 / 기준마련

  

 

 

 

 

 

 

 

+5점 Tip!!

완벽한 답안은 없습니다. 예쁘게 다시 정리하지 마세요.

어떻게 이 작은 답안지에 그 많은 기술 지식을 다 담을 수 있겠습니까. 욕심이 과하시네요. 완벽한 답안은 없습니다. "출제자의 질문에 충실히 답한 답안"과 "그렇지 못한 답안"만이 있을 뿐입니다. 문제의 요지와 조건에 맞는 적절한 밀도의 답안이 최고의 답안입니다. 하나도 빠짐없은 100점짜리 답안을 예쁘게 정리하려고 하는 것 보다, 부족한 부분을 포스트잇빨간펜 등으로 기존 답안 위에 추가로 정리하는 것이 시간도 아끼고 머리에도 더 많이 남는 공부 방법입니다.


 

 

 

본 포스팅은 본인의 경험 및 자료를 바탕으로 현업 중 짬짬히 작성한 글입니다. 부족하거나 수정할 부분은 댓글을 통해 지적/조언 부탁드립니다. 퍼가실때는 출처를 남겨주세요.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공감 클릭해주세요.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