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콘_소성수축균열 vs 침하균열 // 토목시공기술사 1일1포스트잇 //

소성수축균열은 콘크리트 타설 후 표면수 증발에 의한 시멘트 풀 소성수축에 의한 균열이며, 침하균열은 콘크리트 타설시 다짐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부 주철근 방향으로 발생하는 균열입니다. 하지만 많은 엔지니어들이 현장에서 이 두 균열을 구분하지 못해 대책 또한 잘못 수립하는 경우가 여럿 발생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소성수축균열과 침하균열의 차이점을 비교표를 이용해서 구분해보고 각각 어떤 원인과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소성수축균열 vs 침하균열


 

소성수축균열 

침하균열 

원인

 물증발속도 1kg/㎡/hr 이상 

 콘크리트 타설고 상이

형태 

 0.3mm이하 미세균열 

 0.3mm이상 균열

시기 

 타설 직후 

 타설후 1~3시간 

방향 

 난방향 

 주철근방 

대책 

 - 저감대책

 바람막이 설치

 골재 함수비 관리 Prewetting 24hr

 sheet보호

 - 처리대책

 흙손, 고무망치 두드림

 타설속도 늦추고

 1회타설고 0.5~1m

 흙손, 고무망치 두드림

 W/B 낮게, slump 작게


 

#관련 건설기준통합코드

KCS 14 20 10 (일반콘크리트)


#관련시방기준(링크)


#관련글(링크)

[1일1포스트잇] - 일반콘_콘크리트 건조수축 대책

[1일1포스트잇] - 일반콘_레미콘운반 및 양생원칙


#참조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국토교통부(2013)

신경수, 「21세기 토목시공기술사_본서예문사

 

 



기술사공부는 주말에 벼락치기로 하는 것보다, 항상 주변에 읽을 거리/공부할 거리를 가까이두고 학습의 생활화가 중요합니다. 출퇴근길에, 점심먹고 오침 전에 짬짬히 공부하실 수 있도록 1일1포스트잇을 준비했습니다. 그대로 답안에 쓸 수 있도록 개괄식으로 작성했으니 하루에 포스트잇 한장만큼은 머리에 확실히 넣는다는 각오로 학습해주세요! (제가 공부할 때 작성한 것이어서 글씨체가 고르지 못한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본 포스팅은 본인의 경험 및 자료를 바탕으로 현업 중 짬짬히 작성한 글입니다. 부족하거나 수정할 부분은 댓글을 통해 지적/조언 부탁드립니다. 퍼가실때는 출처를 남겨주세요.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공감 클릭해주세요.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