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콘_콜드조인트 대책 // 토목시공기술사 1일1포스트잇 //

콘크리트의 콜드조인트(Cold Joint)는 콘크리트 타설시 잠깐의 대기 상태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하절기에는 기온이 높아 레미콘의 수화반응이 촉진되어 Slump가 급격하게 저하되고 연행공기량 또한 급격히 감소합니다. 콜드조인트가 발생하면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균열이 발생한 것과 같으므로 구조물 내구성에 큰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자, 그럼 현장에서 콘크리트 콜드조인트를 예방하고 처리할 수 있는 대책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콘크리트 콜드조인트(Cold Joint) 대책


1. 방지대책

- 지연형 유동화제 사용

- 타설간격 최대30분 이내 → 온도균열 방지

- 레미콘 조달계획수립 → 배차, 거리

- 비상시 강우대책 마련 → 연속타설 

 

2. 처리대책

- 경화전

타설전 Remixing

타설후 Green Cut (고압수 사용)


- 경화후

2~3cm Chipping실시

표면 흡습 → 세척후 재타설


 

#관련 건설기준통합코드

KCS 14 20 10 (일반콘크리트)


#관련시방기준(링크)


#관련글(링크)

[1일1포스트잇] - 일반콘_레미콘운반원칙 및 타설검토사항

[1일1포스트잇] - 일반콘_콘크리트 재료분리 저감대책

[1일1포스트잇] - 일반콘_콘크리트 재료분리 처리대책

#참조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국토교통부(2013)

신경수, 「21세기 토목시공기술사_본서예문사

 

 



기술사공부는 주말에 벼락치기로 하는 것보다, 항상 주변에 읽을 거리/공부할 거리를 가까이두고 학습의 생활화가 중요합니다. 출퇴근길에, 점심먹고 오침 전에 짬짬히 공부하실 수 있도록 1일1포스트잇을 준비했습니다. 그대로 답안에 쓸 수 있도록 개괄식으로 작성했으니 하루에 포스트잇 한장만큼은 머리에 확실히 넣는다는 각오로 학습해주세요! (제가 공부할 때 작성한 것이어서 글씨체가 고르지 못한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본 포스팅은 본인의 경험 및 자료를 바탕으로 현업 중 짬짬히 작성한 글입니다. 부족하거나 수정할 부분은 댓글을 통해 지적/조언 부탁드립니다. 퍼가실때는 출처를 남겨주세요.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공감 클릭해주세요.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